신중년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50+세대 직업능력진단방안 연구

 

저자: 고진수, 박현국, 조동열
발행처: 일자리위원회(연구 용역 수행: 직무설계연구소) 
발행일: 2017년 12월
분량: 154p 
유형: 논문

 


 


 

- 50+세대가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자신은 물론 기업이 나이듦(aging)에 따라 감소하는 개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 개별 기업이 이를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국가가 50+세대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이들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정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전반에서 50+세대를 활용한 경험이 풍부한 서구 국가가 50+세대를 대상으로 직업능력을 평가하는 다양한 수단을 분석해, 그 결과를

  정책 수립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임.

- 50+세대를 위한 직업능력평가 모델의 유형을 소개하고,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독일의 50+세대 직업능력평가 현황을 살펴봄.

- 직업능력평가와 더불어 중요한 것이 연령관리. 노동시장 은퇴연령을 늦추기 위해서는 기업이 장년층을 보유·배치·능력개발·처우하는 연령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함.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함. 

 


 

<주요 목차>

 

제2장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이 및 고령자고용 실태
제1절 고령화 및 노령화지수 추이

제2절 우리나라의 고령자고용 및 정년실태


제3장 신중년 직업능력평가 모델의 유형과 내용 
제1절 work ability index

제2절 작업적합성 평가(Fitness to work assessment)
제3절 고령자 역량평가(Skills Assessment Tool for Older Workers)
제4절 GULHEMP
제5절 Work Fitness Assessment
제6절 신중년 직업능력평가 수단의 비교분석

 

제4장 외국의 신중년 직업능력평가 활용동향 
제1절 노르웨이

제2절 덴마크

제3절 스웨덴

제4절 독일


제5장 연령관리 개념·영역·영향
제1절 연령관리의 개념
제2절 연령관리의 핵심영역 
제3절 연령관리의 영향


제6장 외국의 연령친화적 고용정책과 연령관리 실태
제1절 연령친화적 고용정책과 관행
제2절 기업의 연령관리 실태


제7장 외국과 우리나라의 연령관리 평가와 진단
제1절 외국의 연령관리 평가와 진단
제2절 우리나라 연령관리 평가와 진단

 

 다운받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