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2모작은 친구와 함께

 

최성환 (한화생명 은퇴연구소장)

 

 

100세 시대의 노후는 생각보다 훨씬 더 길다. 만약 50세 남짓에 주된 직장을 그만둔다면 거의 50년이나 되는 세월을 노후라는 이름으로 살아가야 한다. 그 긴 세월을 누구와 함께 무엇을 하면서 살아갈 것인가는 순전히 개인의 선택에 달려있다.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건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건 뭐라도 할 일, 즉 필드(Field)를 찾는 인생 2모작을 설계해야 한다. 이때 내가 선택할 필드에서 함께 할 가족과 친구(Friends)는 길고 긴 노후에서 빼놓을 수 없는 행복의 디딤돌이다.

 

 

100세 시대, 100세 시대 하는데 과연 우리가 100세까지 산다는 근거가 있는가?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사람의 기대수명(期待壽命)은 82.1세로 남자가 79.0세, 여자가 85.2세이다. 기대수명은 이제 막 태어난 아이의 평균적인 예상수명이자 기대여명(期待餘命)이므로 훨씬 전에 태어난 지금의 나는 그보다 덜 사는 게 맞는 것 아닌가? 일단 이에 대한 대답은 ‘노(No)’이다. 만약 2015년 현재 만 60세라면 기대여명, 즉 앞으로 남은 평균적인 수명은 24.6세니까 84.6세까지 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대여명으로 계산한 수명이 이제 막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보다 2년 이상이나 더 많은 이유는 지금까지 무사히 살아남았으므로 통계적으로 그만큼 더 살 것이라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이다. 남녀로 구분하면 60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2.2세, 60세 여자의 기대여명은 27.0세이다. 따라서 60세의 남자와 여자는 평균적으로 각각 82.2세, 87.0세까지 산다는 것이 통계청이 내놓은 생명표에 의한 우리의 평균적인 삶이다.

 

                                                                                                         

 

최빈(最頻)사망연령 90세는 100세 시대의 전조등

 

기대여명까지 끄집어내도 아직 90세도 안 되는데 무슨 100세 시대냐고 반문할 수 있다. 궁여지책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이럴 때 내놓는 통계가 또 하나 있다. 바로 ‘최빈(最頻)사망연령’이라는 용어로 ‘한 해 사망자 중 가장 많이 사망한 연령’이다. 박명호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최빈사망연령은 2008년에 이미 85세를 넘어섰다. 최근 수년간의 추세를 감안할 경우 2020년이면 최빈사망연령이 90세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빈사망연령이 90세를 넘어서면 100세 이상 사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다고 해서 100세 시대라고 부르는 것이다. 실제로 요즘 문상을 가보면 90이 넘은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요즘 80세 넘어 돌아가는 분들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서 배고픔과 전쟁을 다 겪은 세대들이다. 그런데 그 이후, 특히 6·25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부머들이 100세를 살지 못한다고 말하면 그게 이상한 일일 것이다.

이쯤에서 우리나라가 100세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은 받아들이도록 하자. 그렇다면 다음으로 나올 질문은 오래 살면 오래 일해야 하는 것 아닌가일 것이다. 말이야 맞는 말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 2016년부터 시작된 정년 60세가 2017년부터 전 사업장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로 60세까지 근무하는 경우는 공무원과 일부 공기업뿐이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즉 주된 직장을 그만둘 당시의 연령은 2017년 5월 현재 평균 49.1세에 불과하다. 남자가 51.4세, 여자가 47.2세로 남자가 4세 정도 더 많다. 201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평균 53세(남자 55세, 여자 51세)이던 것에서 갈수록 더 빨라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근속기간 또한 갈수록 짧아지고 있다. 2010년에만 해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근속기간이 19년 8개월(남자 22년 11개월, 여자 16년 7개월)이었던 것이 2017년에는 15년 4개월(남자 19년 4개월, 여자 11년 3개월)로 줄어들었다. 7년 사이에 평균 근속기간이 4년 4개월이나 짧아진 것이다. 그나마 남자의 근속기간은 3년 7개월 짧아지는데 그쳤지만 여자는 5년 4개월이나 짧아지고 있다.

 

<그림 1>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 둔 연령

 

 

인생2모작과 나만의 필드(Field)

 

그나마 다행인 것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 중 52.6%가 현재 취업 중이라는 사실이다. 이들을 2모작 인생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워낙 이른 나이에 주된 직장에서 물러난 우리나라의 고령자들은 이런저런 일을 하면서 소득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나이가 50이 넘어서 새로운 직장을 구하려면 결코 쉽지 않다. 예전에 비해 건강하다지만 나이로 자르는 곳이 대부분으로 젊은 사람과는 경쟁이 안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돈이 필요해서 돈을 벌어야 하건 아니면 뭔가 할 일이 있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나서건 할 일이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거기다 원하는 소득까지 얻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층(55~64세)의 고용률은 66.1%로 OECD 평균 59.2%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최종적으로 물러나는 나이, 즉 실질은퇴연령에서도 우리나라는 남자 72.9세, 여자 70.6세로 OECD 35개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평균보다 7~8세씩이나 높다. 이런저런 이유로 은퇴하지 못하고 소득을 얻기 위해 늦은 나이까지 일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2> OECD 주요국의 실질은퇴연령 비교

 

 

나이가 들어 아등바등하지 않으면서 일터에서 일하고 있다면 다행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 자신의 부족한 노후를 위해 또는 자식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보태주거나 물려주기 위해서라면 그보다 더 서러운 것도 없으리라. 다만 이 경우에도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는 긍정적이면서도 낙천적인 마음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뭐라도 할 일을 찾아야

 

어떤 이유에서건 일할 곳이 있다고 할 때 필자는 그 일할 곳을 ‘필드(Field)’라고 부른다. 필드하면 축구장이나 야구장 또는 골프장이 먼저 떠오르겠지만 내가 뛸 수 있는 곳, 일 할 수 있는 곳, 내가 원하는 대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나의 필드라는 뜻이다. 따라서 꼭 소득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취미활동과 같은 소일거리도 노후의 훌륭한 필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생 2모작은 소득을 얻는 일자리만 의미하는 게 아니라 내가 뭔가 할 수 있는 필드가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수원시 평생학습관에서는 ‘뭐라도 학교’를 열어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한 시민들을 상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필자에게 처음 강의 요청이 왔을 때 ‘뭐라도’가 뭐냐고 담당자에게 물은 기억이 난다. 별거 아니었다. 뭐라도 해야 한다고 해서 뭐라도 학교라고 지었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나이가 들수록 뭐라도 할 게 있어야 한다. 그 긴 시간, 50대 초중반에 주된 직장에서 물러나서 뭐라도 할 게 없다면 거의 50년을 더 살아야 하고 운 좋게 60세 넘어 70세까지 일한다고 해도 30~40년은 더 살아야 한다.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가까운 문화관이나 복지센터에 가면 각종 운동에다 서예 또는 악기 등을 배울 수 있다. 또 내가 잘 할 수 있는 게 있다면 재능기부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돈이 있어야만 기부하는 게 아니지 않은가? 내가 하고 싶고 내가 좋아하는 필드, 보다 의미 있는 인생 2모작을 찾는 노력은 있으면 하고 아니면 마는 게 아니라 절체절명의 개인적 사명(使命)이다.

 

 

‘Father and Mother, I love you!’의 첫 글자 FAMILY

 

스위스계 글로벌 은행 HSBC가 17개국 17,000여 명에게 “은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오르느냐?”라고 물었다. 대다수 선진국 사람들은 ‘자유, 만족, 행복’을 떠올렸다고 대답했다.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떠올린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두려움, 외로움, 지루함’이 이었다. 은퇴하고 난 후 바로 닥칠 경제적 어려움을 생각하니 두려울 수밖에 없다. 내가 춥고 배고픈데 주위에 누가 있을 리가 없다고 보면 외로울 수밖에 없다. 또한 우리나라는 연간 근로시간이 2,100시간 안팎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중 가장 오랜 시간 일을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회사에 얽매여 열심히 일만 하다보니 가족이나 친구와 보낸 시간은 거의 없고 놀 줄도 모르기 십상이다. 이런 사람이 막상 은퇴한 후 그 많은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생각하면 외롭고 지루함이 떠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림 3> ‘은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슨 생각이 떠오릅니까?’

 

 

경제적 어려움과 두려움은 차치하고 외로움과 지루함은 무슨 까닭일까? 돈이 없으니 할 일도 없고 친구도 없다는 뜻일까? 크게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꼭 돈이 많아야 할 일도 친구도 생기는 것일까? 필자가 그렇다고 대답을 하면 아니라고 하는 이가 더 많을 것 같다. 돈이 아니라 내가 하기 나름이라고 할 것이다. 돈이 없으면 없는 대로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일도 만들고 친구도 만드는 게 인생(人生), 즉 사람이 살아가는 기본이기는 하다. 하지만 친구는 나이만 먹는다고 세월만 간다고 그냥 생기는 게 아니라는 게 우리의 경험이다.

친구가 많아야 외롭지도 지루하지도 않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안다. 그렇다면 어떤 친구가 내 외로움과 지루함을 달래줄 수 있을까? 친구 중에 가장 중요하면서도 좋은 친구는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이다. 배우자는 더 말할 것도 없고 부모형제와 자녀, 손자녀와 같은 가족이야말로 죽는 순간까지 함께 할 친구들이다. 가족을 뜻하는 영어 ‘FAMILY’가 “아버지, 어머니, 사랑합니다(Father and Mother, I love you!)의 첫 글자를 딴 말인 것도 우연은 아니지 않을까?

가족만이 진정한 친구라면서 만족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는 말도 그래서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화목한 가족을 일구는 것은 친구 만들기의 최우선적 과제이다. 하지만 가족을 넘어서는 친구들도 많아야 가족도 친구도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지나칠 정도로 가족, 가족 하는 것도 사실 꼴보기 싫은 일이고 가족은 제쳐두고 친구, 친구하면서 밖으로만 나다니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가족을 포함한 친구를 골고루 사귀면서 이렇게 저렇게 모여서 대화하면서 노는 것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필자가 친구의 경우 필드(Field)와는 달리 Friends로 복수형으로 쓰는 것은 친구는 많을수록 좋다는 것을 은연 중에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물론 필드도 많은 게 좋기는 하겠지만 너무 많은 필드와 친구는 유지와 관리가 어렵다는 점 또한 유념해야 할 것이다.

 

 

친구, 돌아보지 않으면 사라지는 사람들

 

호주 출신의 작가 겸 간호사 브로니 웨어(Bronnie Ware)는 인생의 의미를 찾다가 영국까지 가서 호스피스 병원에서 한동안 근무했다. 그때의 경험을 펴낸 것이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이라는 책이다. 말기 환자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에 남기고 떠난 이야기를 엮은 것이다. 그들이 죽으면서 가장 후회하는 5가지가 무엇이었을까?

 

<그림 4> 말기 환자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 가장 후회하는 5가지(출처: 브로니웨어, 2013)

 

 

번역에 따라 조금씩 표현이 다르지만 필자가 저자의 의도를 읽으면서 나름 정리한 것이다. “내 뜻대로 살지도 못하고 일만 열심히 하면서 내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도 못했구나, 친구들도 챙기지도 못 하고 도전하지도 못하면서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살았구나”하면서 인생을 후회하는 것이다. 그것도 죽음을 코앞에 두고서 하는 후회라면 우리들이 귀담아들어야 하지 않을까?

5가지 후회 중에서도 지금 건강한 우리들은 “그래 맞아, 내가 건강할 때 내 친구들, 그 친구들 좀 챙길걸”하면서 떠나는 사람들의 회한을 잘 이해할 수 있을까? 바쁘답시고 언제나 거기 있는 게 가족이고 친구라면서 살다 보면 다 떠나고 나만 남지 않을까? 고독사(孤獨死)가 일본의 고령자들에게만 일어나는 일일까? 얼마 전 친구들과의 밴드에 올라온 글귀 ‘친구, 돌아보지 않으면 사라지는 사람들’이 마음에 남는다. 내가 돌보고 배려하고 챙기지 않으면 멀어질 수밖에 없는 게 가족이고 친구들이다. 이제부터라도 내 노후의 내 필드에서 나와 함께 할 동반자들을 돌아보자. 내 배우자와 부모형제도, 자녀와 손자녀도, 그리고 친구들도.

인생 1모작이 회사와 함께였다면 인생 2모작은 친구와 함께 해야 한다. 은퇴한 후 가족과 친구와 함께 만드는 필드가 진정한 나의 필드이고 이들과 적어도 30~40년을 함께 해야 한다. 어떤 필드, 어떤 친구를 선택할 것인가는 당신의 선택이다. 지금부터 부지런히 노력하면 당신의 마음에 맞는 친구와 필드는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 친구와 필드는 노후 행복의 키워드이자 가장 중요한 디딤돌이다. 다시 브로니 웨어의 말이다. “인생은 선택이고 이 인생은 당신의 것이다. 의도적으로 현명하고 솔직하게 당신의 인생을 선택하라. 행복을 선택하라”

 

 

[참고 문헌]

 

박명호. (2011). <100세 시대>. 서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발표자료.

브로니 웨어. (2013).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 서울: 피플트리.

최성환. (2013, 공저). <영화 속 은퇴스토리>. 서울: W미디어.

최성환. (2014). <3만 달러 시대, 패러다임이 바뀐다>. 서울: W미디어.

최성환. (2014). <통계로 보는 은퇴스토리>. 서울: 한화생명 보험연구소.

최성환. (2013, 공저). <불안한 노후 미리 준비하는 은퇴설계>. 서울: 경향미디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kostat.go.kr).

통계청. <생명표>. (kostat.go.kr).